울산의 유일한 대중교통인 시내버스가 노사 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결렬로 7일 오전 4시 첫차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해 전체 시내버스의 80%인 702대가 운행을 중단했다.
울산 시내버스 (연합뉴스)
한국노총 울산버스노조 소속 6개 버스업체의 105개 노선 702대가 일제히 운행을 멈추면서 울산 시민들의 발이 묶였다.
이는 울산 지역 전체 시내버스 889대 중 80%에 달하는 규모로, 울산 시내버스 파업은 2019년 5월 이후 6년 만이다.
노조가 없는 직행좌석버스 4개 노선 18대와 마을·지선·마실버스 78개 노선 169대만 정상 운행하고 있다.
파업의 배경에는 3개월째 이어진 임단협 교섭의 결렬이 있다.
노조와 사용자단체인 울산시버스운송조합은 3월 5일부터 6차례 교섭을 진행한 데 이어, 지난달 12일부터는 울산 지방노동위원회 주관으로 12차례에 걸쳐 조정 회의를 가졌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양측의 핵심 쟁점은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에 따른 통상임금 상여금 산입 임금체계 개편 문제다.
노조 측은 부산 시내버스 노사 타결안과 동일한 수준인 총임금 10.47%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재정 부담을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하철이 없어 시내버스가 사실상 유일한 대중교통 수단인 울산의 특성상, 이번 파업으로 인한 시민 불편은 다른 시도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울산시는 즉각 비상 교통대책에 나섰다. 법인 및 개인택시 5천675대의 운행 확대를 요청하고, 승용차 요일제를 해제했다.
또한 공영주차장 94곳 1만1천332면과 공공기관 부설주차장 25곳 9천736면을 시민들에게 개방했다.
교육기관과 기업체에는 등하교 및 출퇴근 시간 조정 협조를 요청했으며, 5개 구·군 및 유관 기관 관계자 130명으로 구성된 비상 연락망과 단체채팅방을 개설해 비상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전날 "울산은 도시철도와 같은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다른 도시보다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파업 철회를 호소했다.
울산시는 재난문자를 통해 시민들에게 시내버스 운행 중단 사실을 알리고 자체 교통수단 이용을 당부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