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고급화·외제차 증가 등이 원인>
자동차보험금 가운데 인체 상해 보험금의 비중이 크게 줄어든 반면 차량 수리비는 크게 늘어났다.
6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2006 회계연도(2006년4월~2007년3월)의 자동차보험 지급 보험금 중 차량 수리비로 지급된 금액은 2조7천388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11.4% 증가한 것이며, 4년 전인 2002회계연도에 비해서는 50.0% 늘어난 것이다.
이 같은 차량 수리비의 증가세는 사람이 다치거나(대인) 자기신체손해 또는 자기 차량이 망가졌을 때(자손) 지급된 보험금의 증가율과 비교하면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자손 지급 보험금은 2002 회계연도 2조8천788억원에서 2006 회계연도 3조4천282억원으로 증가해 연 평균 증가율이 3.8%에 그쳤으나 차량 수리비는 연 평균 14.7%나 늘었다. 상승률면에서 인체상해로 인한 지급보험금의 3.7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보험금 지급 비중도 차량 수리비는 2002 회계연도에서 39.8%를 차지했으나 2006 회계연도에 44.6%로 4.8%포인트 증가한 반면, 대인·자손 보험금은 같은 기간 동안 57.6%에서 51.0%로 오히려 6.6%포인트 감소했다.
이처럼 차량 수리비가 증가한 반면, 인체상해 보험금 비중이 감소한 이유는 대형사고의 감소, 차량의 고급화, 외제차 증가 등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된다.
교통사고에 대한 안전의식이 높아지고 에어백, 잠김방지 브레이크 시스템(ABS) 등 각종 안전장치가 보급되면서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2002년 7천90명에서 2006년 6천327명으로 10.8% 줄어 들었다.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로 인체상해 보험금 지급 비중이 줄어든 대신 차량의 고급화가 차량수리비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 외제차 증가도 수리비 증가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같은 기간 외제차 등록대수는 9만2천대에서 23만5천대로 156.4% 증가해 국산차 증가율 13.0%를 크게 웃돌았다. 2005년 이후 통계만 있는 외제차 수리비는 2005년 1천316억원에서 이듬해 1천775억원으로 1년 새 34.9%나 늘었다. 외제차는 수리 비용이 월등히 비싼 데다 부품 조달이 어려워 수리 기간이 장기화되는 일이 많아 대차료 인상 요인으로도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자동차 사고로 일을 쉬게 된 사업용 자동차에 지급하는 휴차료와 대체해 쓸 만한 차량이 없을 때 주는 대차료의 합계는 2002 회계연도 629억원에서 2006 회계연도에 1천699억원으로 1.7배 늘었다. 이는 2004년에 휴차료 및 대차료 인정기준이 확대되고 보상금액이 현실화된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