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어르신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8월 11일까지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와 협력해 6개 자치구에서 찾아가는 교통안전 교육을 실시하며, 25개 자치구 전체 복지관에서 총 3,000명을 대상으로 실생활 밀착형 교육을 진행 중이다.
서울시는 지난 6월부터 오는 11월까지 25개 전체 자치구 어르신 이용시설을 직접 찾아가 총 3,000명을 대상으로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고령 보행자의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와 협력해 8월 11일까지 6개 자치구 내 7개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찾아가는 교통안전 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지난 6월부터 오는 11월까지 25개 자치구 전체 복지관을 방문해 총 3,000명의 어르신에게 교통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교육은 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교통안전 전문가가 직접 복지관을 방문해 진행하며, 어르신의 보행 특성을 고려한 시청각 자료와 실습을 병행해 실효성을 높였다. 교육 내용은 무단횡단의 위험성, 올바른 보행 요령, 스마트폰으로 교통정보 확인하는 방법, 치매 진단 시 운전면허 조치사항 등 실생활에 밀접한 주제로 구성됐다.
교육을 이수한 어르신에게는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서 제작한 교통안전용품인 장보기용 캐리어가 제공된다. 시는 실효성 있는 교육이 어르신의 실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고령 보행자의 교통사고 사망률이 일반인보다 2배 이상 높은 점을 강조하며, 어르신 눈높이에 맞춘 정책 확대의 필요성을 밝혔다. 2024년 기준 서울시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 117명 중 65세 이상이 68.4%를 차지하는 등 고령화 사회에서 어르신 교통안전 대책은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시는 이번 교육과 병행해 노인보호구역 설치, 사고다발지 개선, 보행신호 연장, 운전면허 자진반납 시 교통비 지원 등 기존 정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낼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교통환경에 취약한 어르신을 대상으로 한 교육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민간 및 시민단체와 협력해 더 많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보행안전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