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 기자]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이중구)가 교통사고와 단속 이력 등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최적화 연구에 본격 착수했다.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자치경찰의 독자적 역량을 집중적으로 발휘하는 '지역 맞춤형 과학치안' 선도 사업의 일환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최적화 연구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회는 자치경찰의 독자적 역량을 집중적으로 발휘하는 '지역 맞춤형 과학치안' 선도 사업의 일환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 최적화 연구를 시작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교통사고와 단속 이력 등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취약지에 무인단속장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에는 지역 내 교통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최적의 설치 위치와 장비 수, 연차별 예산을 산정하고, 기존 장비의 효과성도 면밀히 재평가할 예정이다. 분석 결과는 대구시의 교통안전 정책 수립과 예산 집행에 직접적으로 반영될 계획이다.
특히 도로 구조와 교통환경의 변화로 기존 무인단속장비의 설치 필요성이 줄어든 지역에 대해서는 교통사고 발생 현황, 교통량 변화, 주변 시설물 변화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실제 단속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최적의 장소로 장비를 재배치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장비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통사고 예방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원회는 올해 동구 봉무 지하차도 등 이륜차 위반이 빈번하거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지역을 중심으로 무인교통단속장비를 우선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 과정에서 주민 의견과 현장 실태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교통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민들의 안전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이중구 대구광역시 자치경찰위원장은 "이번 연구는 단순한 장비 설치를 넘어, 지역 실정에 맞는 과학적 교통안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사고 위험 지역에 장비를 집중 배치하고, 효과가 미흡한 장비는 재배치하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