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노사는 20일 임금 및 단체협약에 최종 합의하며 13일간 이어진 파업을 종료하고, 21일부터 정상 운행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9일째 이어진 16일 광주 북구 운암동 경신여고 버스정류장에서 시민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 (c) 연합뉴스
광주시청에서 20일 열린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에서 시내버스 노사 양측은 임금 3% 인상과 정년 연장(만 61세→62세)을 포함한 조건에 합의하고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5일부터 이어졌던 시내버스 파업은 종료됐으며, 노조는 21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을 시작하기로 했다.
이번 합의에는 광주시가 주관하는 ‘대중교통혁신회의’(가칭)를 구성해 노사가 함께 참여하기로 한 내용도 포함됐다.
이 회의에서는 근로자 임금 및 처우 개선, 버스 요금 현실화, 준공영제 구조 개선 등 광주 시내버스 운영 전반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다.
노조는 당초 임금 8.2% 인상과 정년 연장 등을 요구했으나, 사측은 재정 부담을 이유로 동결 입장을 고수하며 협상이 결렬됐다.
이후 지방노동위원회의 사후 조정 시도와 함께 광주시의 중재가 이어졌으며, 최종적으로 강기정 시장의 제안에 따라 3% 인상안으로 합의에 도달했다.
이번 파업으로 인해 광주 시내버스 운행률은 80% 안팎으로 떨어졌으며, 광주시는 전세버스 등을 긴급 투입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일부 노선에는 파업 미참여 인력과 대체 차량이 배치돼 운행을 유지해 왔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한 해 1,400억 원에 달하는 재정 적자를 감안할 때 과도한 임금 인상은 어렵다”며 “준공영제 전반의 혁신을 통해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대중교통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더 이상 시민 불편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사가 협력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