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 결렬에도 예정했던 파업을 돌연 유보하고 정상 운행에 나선다. 이에 따라 28일 수요일 첫차부터 서울 시내버스는 전 노선에서 평상시와 같이 운영된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협상 결렬에도 예정했던 파업을 돌연 유보하고 정상 운행에 나선다.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 2시경 용산구 노조 사무실에서 지부장 총회를 열고 파업 여부를 논의한 끝에 ‘파업 유보’ 결정을 내렸다. 투표 결과 재적 63명 중 49명이 유보에 찬성했고, 11명은 파업을 지지했으며 3명은 기권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내버스 노사는 전날 오후 3시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9시간 가까이 교섭을 이어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이날 0시 10분께 결렬을 선언했다. 이에 노조는 당초 28일 첫차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노조는 불과 두 시간여 만에 입장을 바꾸고 파업을 미루기로 했다. 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하더라도 서울시와 사업주 측 입장이 달라지지 않을 것이란 판단 아래, 소송과 노동부 진정 등을 통해 권리구제를 확인한 후 교섭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노조의 결정을 환영하며, 시민들이 불편 없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노조의 결정을 존중하며, 향후 임금체계 개편을 포함한 실질적인 교섭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이날 새벽 4시 현재 시내버스가 정상 운행 중이라고 확인하고, 파업 대비 차원에서 마련했던 비상수송대책은 전면 취소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파업 유보로 출근길 시민의 혼란이 최소화된 점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향후 돌발 상황에도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시는 당초 파업 돌입에 대비해 지하철 심야 연장 운행, 무료 셔틀버스 투입, 택시 합승 단속 유예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둔 바 있다. 이번 파업 유보 결정으로 해당 조치는 시행되지 않는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