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열차사고와 관련해 철도노조가 “더는 땜질식 처방으로는 제2, 제3의 참사를 막을 수 없다”며 정부와 철도공사에 전면적인 시스템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무궁화호 열차가 선로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는 사고가 발생한 19일 경북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경찰과 소방, 코레일 등 관계자들이 사고가 난 무궁화호 열차를 조사 하고 있다. (c) 연합뉴스
노조는 특히 작년 구로역 사고를 언급하며, “운행선만 차단하고 인접선은 열차가 계속 운행되는 상태에서 작업을 강행하다 충돌 사고가 났다”며 “사고 뒤 일시적 조치가 있었지만, 또 다른 구간에서 유사 사고가 반복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방향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노조는 “구로역 사고 유족에 따르면, 조사위는 사고 원인을 작업자의 과실로 돌리려 한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사고의 본질을 외면하는 것이며, 구조적·시스템적 원인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철도노조는 “죽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력과 예산 투자가 필수”라며 “현장을 가장 잘 아는 노동자의 참여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부 책임론도 제기됐다. 노조는 “국토부는 사고 조사 주체이자 최종 관리 책임자임에도, 매번 책임을 회피해왔다”고 지적하며 “철도공사가 땜질에 몰두할 때 국토부는 도대체 무엇을 했는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사고 피해자 7명 중 6명은 외부업체 근로자, 1명은 철도공사 소속 직원으로 확인됐다. 철도노조는 “비록 조합원은 아니지만,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9일 오전 10시 52∼54분께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청도소싸움 경기장 인근 경부선 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경남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제1903호)가 선로 근처에서 작업을 위해 이동 중이던 근로자 7명을 치었다. 이 사고로 2명이 사망하고, 5명은 중경상을 입었다.
사고를 당한 근로자 7명 가운데 1명은 코레일 소속이고, 나머지 6명은 구조물 안전 점검을 전문으로 하는 하청업체 직원으로 파악됐다.
특히 사망자 2명 모두 하청업체 직원들로 조사됐으며, 나머지 부상자 5명은 경주와 경산, 안동 등에 있는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