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경부선 남성현~청도 구간에서 발생한 무궁화호와 작업자 충돌사고와 관련해, 철도안전체계를 전면 쇄신하고 코레일 안전관리 실태를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19일 밝혔다.
무궁화호 사고현장을 방문한 강희업 2차관. ⓒ연합뉴스19일 오전 경북 청도군 경부선 철로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비탈면 점검 작업 중이던 근로자 7명을 덮쳐 2명이 숨지고 5명이 크게 다쳤다. 작업 승인 7분 만에 사고가 발생해 코레일 안전관리 부실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번 사고는 2024년 8월 구로역 모터카 충돌로 작업자 2명이 숨지고, 2025년 2월 동해선 근덕역에서 1명이 사망한 데 이어 철도 현장에서 또다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국토부 김윤덕 장관은 사고 당일 현장을 직접 방문해 한국철도공사로부터 경위와 대책을 보고받았다. 김 장관은 “고속철도를 수출하는 나라에서 이런 후진국형 철도사고가 발생한 것은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심히 유감”이라며 “작업계획 수립부터 사후관리까지 국가철도 안전관리체계를 전 분야에서 쇄신·개편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소중한 인명이 다시는 희생되지 않도록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위법사항에 대해서는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강희업 2차관도 남성현역 사고수습본부를 찾아 코레일 측으로부터 재발 방지 대책을 보고받았다. 강 차관은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유지보수 과정에서 작업자 안전사고가 발생해 참담하다”며 “그간 다수의 안전대책과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음에도 대형사고가 이어지는 것은 코레일의 안전관리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책이 현장에서 작동하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라며 “코레일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을 강도 높게 점검해 근본적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국토부는 지난해 발표한 ‘철도안전정책 혁신방안’과 구로역·근덕역 사고 대책 등 기존 제도를 다시 검증하고, 이번 사고를 계기로 보다 실효성 있는 안전대책을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