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5·8호선 전동차 298칸 전량이 납품되지 않은 가운데, 제작사 다원시스가 588억 원의 선금 사용내역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
서울지하철 노후 전동차 교체사업을 맡은 철도차량 제작사 ㈜다원시스가 납품 기한을 넘긴 5·8호선 전동차 298칸을 전량 미납한 데 이어, 선금 588억 원에 대한 세부 사용내역조차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서울시 노후 전동차 교체 사업 추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는 다원시스에 대해 지난 5월 9일부터 6월까지 총 세 차례에 걸쳐 선금 588억 원의 사용 내역 제출을 요구했으나, 해당 업체는 “판관비와 기타비용으로 사용했다”는 입장만 밝혔을 뿐 증빙자료는 내지 않았다.
서울시는 다원시스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납품하기로 한 5호선 208칸, 8호선 90칸 등 총 298칸의 전동차를 올해까지 인도해야 했으나, 현재까지 단 한 칸도 납품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 사업에 대해 전동차량 교체비용의 25%를 국비로 지원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5·8호선 298칸 외에도 ▲4호선 260칸 ▲5호선 200칸 ▲1·8호선 190칸 등 총 948칸의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실질적으로 납품된 것은 4호선 전동차 90칸에 그치고 있다.
박 의원은 “철도제작사가 수백억 원에 달하는 선금을 증빙자료도 없이 사용하는 일이 벌어진 원인은 국토부와 서울시의 관리 소홀”이라며 “국토부가 국비 지원 전동차량에 대한 선금 사용내역을 전수 조사하고, 매월 점검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교통공사는 현재 다원시스에 대해 3개 법무법인의 법률 자문을 통해 선금 588억 원의 반환 청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해당 업체는 생산 능력 문제를 거론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진행률이 10%도 되지 않는다”며 “구체적인 내용 파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승안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