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 전년 대비 교통문화지수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 등 일부 지표는 개선되었으나, 방향지시등 점등률, 제한속도 준수율,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 등 일부 지표는 하락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자체별 조사 결과
전국 운전 행태 조사 결과,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93.91%→95.99%), 운전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58.23%→63.43%), 횡단보도 정지선 준수율(81.43%→82.12%) 등 대부분 지표가 개선되었다. 특히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은 2년 연속 큰 폭으로 상승하여 이륜차 운전자들의 안전 의식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방향지시등 점등률(76.00%→75.59%), 제한속도 준수율(66.43%→65.47%)은 전년 대비 하락하여, 운전자들의 기본 교통 법규 준수 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보행 행태 조사 결과, 무단 횡단 금지 준수율(70.97%→74.66%)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횡단보도 신호 준수율(93.02%→92.46%), 횡단 중 스마트기기 미사용 준수율(85.48%→85.30%)은 전년 대비 하락하여 보행자들의 교통 안전 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자체의 교통 안전 관심도 증가로 '교통 안전 행정 노력도'(7.38점→7.42점)는 소폭 향상되었으나, '교통 사고 사상자 수'(9.47점→10.03점)는 소폭 증가하여 교통 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교통문화지수 조사 결과, 강원 원주시(90.35점), 충남 논산시(89.32점), 충북 영동군(87.39점), 인천 연수구(85.78점)가 각 그룹별 1위로 선정되었으며, 서울 강서구(83.49점)는 전년 대비 교통문화지수 개선율이 가장 높은 지자체로 선정되었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교통문화지수 하위 20% 이내 지자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개선안을 마련하는 교통 안전 특별 실태 조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각 지자체에서 교통문화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 국민들의 교통안전 의식 수준이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자체·경찰과 협력하여 적극적인 홍보와 계도를 통해 국민들의 교통 법규 준수를 습관화하고 교통 문화 선진화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