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이 현대차·기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공 교통데이터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체계 구축에 나섰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한국교통안전공단 업무협약 체결식. ⓒTS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 이하 TS)은 14일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현대차·기아와 ‘공공 교통데이터 기반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TS와 양사는 AI, 로보틱스 등 첨단 모빌리티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인구소멸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목표로 협력을 강화한다.
세부적으로 TS는 대중교통정보 등 공공 교통데이터를 제공하고, 현대차·기아는 수요응답형 교통 솔루션 ‘셔클’ 운영 과정에서 축적한 데이터와 사업 노하우를 공유하며 모빌리티 혁신 분야에서 협력한다. 양 기관은 지역 교통 실태를 분석하고 맞춤형 공공 교통모델을 공동 개발·실증하며, 이를 기반으로 정책 제안과 제도 개선까지 연계한다.
또한 TS는 현대차·기아가 추진하는 데이터 기반 개방형 실증·연구 체계인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에 참여하고, TS가 사무국을 맡는 민·관 정책협의체 ‘모빌리티 혁신포럼’에서도 연구 결과를 정책 제언과 제도화로 연결해 민간과 공공의 모빌리티 혁신 선순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TS 정용식 이사장은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연계를 통해 지역 교통 문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현대차·기아와 함께 보다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미래 모빌리티 체계를 구축하는 데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TS는 민간기업, 지자체,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해 사람 중심 교통안전 정책 실현과 데이터 기반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