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도 교통카드를 쓸 수 있는 시대다. 애플페이가 한국 대중교통에 정식 적용됐지만, 기능적 제약과 정책 연계 미비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
당산역 개찰구에서 이용객들이 환승하고 있다. ⓒ교통일보
2025년 7월 22일, 애플과 티머니가 애플 월렛에 티머니 교통카드를 공식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아이폰과 애플워치 사용자도 스마트기기 하나로 전국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열렸다.
해당 기능은 티머니 선불카드를 애플페이에 등록한 뒤 단말기에 갖다 대는 방식으로, 별도의 인증 절차 없이 요금이 즉시 결제되는 점에서 이용 편의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이 서비스는 지갑 앱에 티머니 기반 교통카드를 등록한 뒤 NFC 기능을 통해 결제하는 구조다. 특히 '익스프레스 모드'를 지원해 페이스 아이디나 터치 아이디 인증 없이 바로 결제되며, 서울을 포함한 대부분의 도시 철도·버스 노선에서 사용 가능하다.
일부 편의점에서도 결제가 가능하지만, 가맹점에 따라 이용 가능 여부는 다를 수 있다. 기기의 전원이 꺼진 상황에서도 최대 5시간까지 결제가 가능한 점은 비상 상황에서도 유용하다는 반응이다.
사용법도 간단하다. 지갑 앱에서 카드를 등록한 뒤 원하는 금액을 충전하거나, 최소 잔액 기준으로 자동 충전 기능을 설정하면 된다. 다만 하나의 카드가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 중 한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하고, 기기 간 잔액 이전도 지원되지 않는다.
자동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에선 수동 충전이 불가능해 일시적으로 조작에 제약이 따르기도 한다. 외국 발급 카드로는 충전이 불가능해, 관광객은 국내 결제 수단을 별도로 마련해야 한다.
기존 삼성페이나 티머니 앱 중심이던 교통카드 시장에서 iOS 사용자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Apple과 티머니의 기능 통합은 플랫폼 간 접근성 불균형을 해소하고, 교통 결제 시장의 기술 경쟁을 촉진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 하나로 결제와 교통이 모두 가능한 '올인원 서비스' 흐름에 부합하는 점에서 상징적 변화로도 평가된다.
현재 이 기능은 외국인 관광객과 애플 사용자 중심으로 긍정적 반응을 얻고 있으나, 몇 가지 제한도 함께 지적된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은 지원되지 않으며, K-패스나 기후동행카드 등 공공요금 할인 정책과의 연계도 불가능하다.
지역별 특화 교통카드와의 호환이 이뤄지지 않는 점도 실사용자에게는 불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교통복지 확대라는 정책 흐름과의 괴리도 남아 있는 셈이다.
서비스의 지속적 확산은 공공정책과의 연계 여부에 달려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후불 기능 도입, 다기기 간 동시 사용, 공공요금제 통합 등이 이뤄질 경우 애플페이가 교통 결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교통카드 기능을 넘어 디지털 지갑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만큼, 정책적 연계와 범용성 확대가 과제로 남는다.
- T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