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사전 조정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며 본격적인 파업 위기에 직면했다. 노조 측은 합의가 불발될 경우 오는 7월 9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구 시내버스 노사가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사전 조정에서 입장 차를 좁히지 못하며 본격적인 파업 위기에 직면했다. 교통일보 자료사진
23일 대구시내버스 노사는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임단협 2차 사전 조정 회의에서도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앞서 7차례에 걸친 자체 교섭에서도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고, 이날 조정 결렬 이후 노조 측은 노동쟁의 조정을 노동 당국에 공식 신청했다.
노동쟁의 조정은 신청일 다음 날부터 15일 동안 진행되며, 첫 본 조정 회의는 오는 25일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번 임단협에는 대구 시내버스 업체 26곳 중 22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노조 측은 평균 시급(1만1,935원)의 8.2% 인상과 정년 연장을 만 63세에서 65세로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로 인해 인건비가 이미 상승한 상황이라며, 시급 인상과 정년 연장 모두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따른 자연 상승분이 커 임금 추가 인상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임금 상승분은 법적 판결에 따른 정당한 반영이며,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인상 요구는 별개의 사안”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다.
노조는 조정이 결렬될 경우 7월 9일 첫차부터 파업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대구 시내버스 운행에 대규모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파업에 대비해 전세버스를 동원하고 지하철 운행을 증편하는 등 비상수송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시 관계자는 “파업 규모는 3~4일 전쯤 명확해질 것”이라며 “규모에 맞춰 단계별 대응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