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충격이 서서히 가시면서 해외여행 하늘길이 속속 열리자 국제선 운항이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60% 수준으로 회복했다.
코로나19 충격이 서서히 가시면서 해외여행 하늘길이 속속 열리자 국제선 운항이 코로나19 발생 이전 대비 60% 수준으로 회복했다. 사진은 인천국제공항 국제선 출국장 모습 (교통일보 자료사진)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동남아 등 국제 항공 운항노선이 대폭 확대된 결과 올 1월 국제선 여객 수는 461만1370명으로 코로나19 감염증 확산 이전인 2019년 1월 대비 58% 수준으로 회복했다고 7일 밝혔다.
월간 국제선 여객수는 지난해 2월 32만757명까지 떨어졌다가 4달 후인 6월 127만9029명으로 100만명선으로 회복했고, 이어 8월 252만2903명, 12월 405만748명 등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0월 말부터 일본, 베트남, 태국 등 중단거리 노선의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데다 올 1월엔 설 연휴기간 해외 여행객이 늘면서 회복세가 가팔라졌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의 경우 여객수 회복률(2019년1월과 비교)은 2022년 10월 39.3%, 12월 57%, 올 1월 62%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지역별로 일본은 지난해 10월 무비자 입국 허용 등 방역 규제가 폐지되고, 엔저 현상이 나타나면서 여객수가 급증했다. 올 1월 여객 수는 133만 명으로 지난해 8월(16만 명) 대비 약 8.3배 증가했다.
또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 여행 수요 증가로 1월 아시아 노선 여객 수 회복률은 약 66% 수준(218만 명)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 지난해 12월 ‘제로 코로나 방역정책’을 폐지했으나, 중국 내 코로나 확산세로 중국 입국객에 대한 방역규제를 강화해 올 1월 여객 수는 10만명 수준으로 회복률은 8%에 그쳤다.
글로벌 항공정보 제공업체 OAG에 따르면 2022년 전 세계 항공운항 회복률(국내+국제, 공급석 기준)은 2019년 대비 약 80% 수준이었고, 아시아와 대양주의 경우 약 70% 이내로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올해 6월 기준 전 세계 항공운항 예상 회복률은 90% 예측되며, 2024년 하반기엔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앞으로도 다양한 국제 항공편을 늘리는 등 국제선 정상화에 온 힘을 다 하겠다”면서 “항공 안전보안 관리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