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빚고 있는 경부간선도로 양재-반포 구간의 지하화가 본격 추진된다.
경부고속도로 양재-반포 구간의 지하화가 본격 추진된다. 사진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빚고 있는 경부고속도로 양재-반포 구간 입구 모습 (교통일보 자료사진)
서울시-국토부-경기도-한국도로공사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사업의 원활한 추진, 사업간 연계·연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월31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실무협의체를 구성 및 운영을 시작했다고 1일 밝혔다.
국토부는 현재 기흥-양재 구간 기존 경부고속도로 하부에 대심도 터널을 신설할 계획으로 2027년 하반기 착공을 목표로 올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추진 중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구간인 양재-한남 경부간선 지하화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전체 사업 중 특히 관심이 집중되는 핵심 구간으로 서울시는 지난해 전문가 논의, 도로 기능고도화 검토 등을 통해 구상안을 마련했고 지난 1월 오세훈 시장이 신년 인터뷰에서 밝힌대로 본격 추진한다.
경부간선도로 지하화 관련사업 위치도 및 개념도 (서울시 제공)
현재까지 수립된 계획의 골자는 지하공간에 국토부의 대심도 지하 고속도로(양재-고양)를 통해 수도권 광역교통을 처리하고, 중심도 지하도로(양재-반포)로 서울 동남권 내부 고속이동 차량을 분산하여 지상 교통정체를 해소한다는 것이다.
지상도로는 교통처리를 위한 최소차로(4~6)만 남기고 주변 생활도로와 평면 연결한다. 상부공간 활용에 대한 공간계획은 올해 3월부터 연말까지 기본구상을 수립, 지상은 녹지․여가 공간, 문화시설 등 미래세대를 위한 인프라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가 추진하는 경부간선도로 양재-반포 구간 지하화(6.9km)는 올해 한국지방행정연구원(LIMAC) 타당성조사, 서울시 투자심사 등 절차를 신속히 이행하여 2026년 초 착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경부간선도로 지하화를 통해 상실된 도로 기능을 회복하고 상부공간은 사람 중심의 공간으로 재창조하여 매력 도시 서울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