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토부, 글로벌 톱 10 물류기업 육성 추진
  • 이병문 기자
  • 등록 2012-06-19 22:45:40

기사수정
  • 범한판토스 등 육성대상기업 6개社 선정
 
우리나라 물류기업을 DHL 같은 글로벌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6개 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금융융자 및 컨설팅·인수합병(M&A) 지원 등에 나설 예정이다.

국토해양부는 제1차 글로벌 물류기업 육성대상기업으로 ▲(주)범한판토스 ▲씨제이지엘에스(주) ▲장금상선(주) ▲(주)한진 ▲현대글로비스(주) ▲현대로지스틱스(주)(이상 가나다순) 등 6개社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그동안 국토부는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물류기업을 선정해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은 ‘글로벌 물류기업의 선정 및 육성에 관한 규정’을 작년 12월 제정․고시했으며 모집공고(2012.2.15) 및 접수(~3.16)를 거쳐, 3월 중순부터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신청기업에 대한 서류심사, 현장실사, 인터뷰 등의 선정심사를 진행해왔다.

육성대상 기업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종합물류기업 인증을 획득해야 하며 해외매출이 전체매출의 10% 이상, 해외진출 사업계획·우수 등급 이상을 받은 기업이어야 한다. 6월 현재 종합물류기업 인증을 얻은 기업은 모두 49개사이다.

이번에 선정된 6개 기업은 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기업별 사업영역 및 역량 등을 고려한 특성화된 사업전략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종합물류기업의 해외매출은 지난 2007년 9000억원에서 연평균 54%의 성장세를 보이며 지난해 4조9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DHL(독일)이나 UPS(미국) 등 세계적 수준 물류기업과 비교하면 글로벌 네트워크 등의 측면에서 크게 열악한 실정이다.

DHL의 글로벌 거점(법인·지사)는 220개국·854개, UPS는 200개국·1801개인 데 반해 범한판토스는 28개국·36개, CJ GLS 11개국·14개 수준에 불과하다.

6개 기업 자체목표에 따르면 5년내 약 2조9000억원 해외투자를 통해 해외매출이 4조2000억원에서 13조3000억원, 글로벌 거점은 106개에서 260개 이상으로 대폭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020년까지 세계적 수준의 Global Top 10 기업이 1~2개 이상 탄생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에 육성대상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에게는 해외투자 자금에 대한 수출입은행 융자지원은 물론, 물류전문인력 양성지원(해외 인턴 파견, 현지 채용인력 교육) 등 국토부 지원사업 우대 혜택이 제공된다.

국토부는 또 진출국가·지역 맞춤형 컨설팅, M&A 전용펀드 등을 활용한 글로벌 M&A 지원, 관련 보험 요율인하 등 다양한 방안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글로벌 육성대상기업 선정을 추진할 예정으로, 중견·중소기업을 비롯해 보다 많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