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는 경기버스 서울 진입을 싫어한다?
  • 박대진 기자
  • 등록 2010-10-23 16:28:40

기사수정
  • 도심 교통혼잡 이유, 경기도 요청 75% 거부
경기도내 지자체의 서울지역 버스노선 개설과 버스 증차요구에 대한 서울시의 부동의 비율이 75%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지자체들이 신도시와 택지지구 주민들의 서울 출·퇴근 수요증가를 이유로 서울 도심과 연결되는 버스 노선 신설과 버스 증차를 요구하고 있으나 서울시의 경기버스 서울 도심진입 억제방침에 묶여 번번이 무산되고 있다.

수원, 용인, 성남, 광주, 고양, 안양, 부천 등 14개 지자체가 지난해 10월부터 올 8월말까지 125건의 버스 노선 신설 및 증차요구를 했지만 수용된 것은 4분의 1(31건)에 불과했다. 나머지 94건은 모두 거부됐다.

남양주시는 지난해 10월7일 광릉에서 청량리(707번), 길동(23번), 경동시장(88번), 강남역(7000번)을 종점으로 하는 노선의 버스증차(총 28대)를 서울시에 요청했지만 모두 거부당했다.

의정부시도 같은 달 15일 양주자이~노원역(7번), 의정부~강변역(1-1번), 공영차고지~노원역(72-1), 의정부~종로1가(1001번) 등 4개 노선의 버스 증차(25대) 협의를 했으나 모두 어렵다는 답변을 들었다.

올해 들어서도 수원시가 지난 4월8일 고색동~강남역(3000번), 수원터미널~강남역(3007번) 등 9개 노선에 걸쳐 버스 33대 증차를 서울시에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같은 달 30일에는 광주시가 단국대~서울역(8100번), 흥덕지구~서울역(5007번) 등 5개 노선에서 버스 20대 증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서울시는 모두 부동의했다.·

이로 인해 신도시나 택지지구 주민들은 대중교통수단이 부족해 서울 출·퇴근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자체들은 노선 신설과 버스증차가 필요한 노선에 대해선 국토해양부에 중재신청을 하고 있으나 국토부가 기각하는 경우가 많아 대중교통 불편민원해소에 제동이 걸리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경기도내 지자체의 버스노선 개설과 증차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극심한 도심혼잡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노선 신설과 버스 증차에 동의한 협의건수 중에서도 절반 정도(16건)는 서울 외곽지역의 버스, 전철 환승을 통해 서울도심에 진입토록 조건을 달거나 수정된 것이다.

한편 경기도는 국토부의 2010년 상반기 시내버스 사업계획변경 조정 심의결과, 15개 노선 27대의 광역버스를 증차 운행한다고 밝혔다.

증차되는 노선과 대수는 수원시의 경우 △3000번(고색동∼강남역 )1대 △3001번(신갈∼강남역)2대 △3002번(수원터미널∼강남역)1대 △3003번(오목천교∼강남역)1대 △3007번(수원터미널∼강남역)3대 △5100번(경희대∼양재역)3대 △7000번(신갈∼사당역)2대 △7001번(수원터미널∼사당역)2대 등이다

부천시는 △10번(옥길동∼여의도환승센터)1대 △88번(대장동∼여의도환승센터)4대, 광주시는 △5007번(흥덕지구∼서울역)1대 △5006번(흥덕지구∼강남역)1대 △9300번(도촌동∼서울역)2대, 구리시는 △1115-6번(수택동∼잠실역)2대, 남양주시는 △8002번(대성리∼잠실역) 1대이다.

증차된 노선은 운송업체의 차량 구입 및 운행개시 절차를 거쳐 빠르면 다음달부터 버스가 운행된다.

프로필이미지

박대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