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부선 평일 버스전용차로 소통 효과 커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9-12-25 16:37:10

기사수정
  • 통행속도 18㎞/h 빨라지고, 하루 교통량 2만8천대 감소
지난해 10월 1일부터 본격 시행된 경부고속도로 평일 버스전용차로제(한남대교 남단~오산IC)가 교통 소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평일 경부선 버스전용차로제'의 시행 1년을 맞아 효과를 분석한 결과 경부고속도로의 소통이 크게 개선됐다고 24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 제도의 시행 이후 일평균 교통량은 총 2만8000대가 감소했다. 이중 '승용차→ 버스'로의 교통수단 전환 효과로 1만4000대, 경제 여건 변화 등으로 인한 자연 감소 5600대, 서울-용인 고속도로 등 대체노선 전환 효과로 8400대가 감소했다.

통행속도는 교통량 감소 등으로 일반차로는 제도 시행전 대비 9.8㎞/h, 전용차로는 26㎞/h가 증가해 평균 통행속도는 약 18㎞/h가 빨라졌다.

또 일평균 일반차로의 수송인원은 4만7000명 감소했지만, 전용차로 수송인원이 7만3000명 증가해 총 수송인원은 2만6000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용차로의 수송분담률은 제도 시행전 52%에서 시행 후 62%로 10%p 증가해 대중교통(버스) 이용이 보다 활성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수송분담률은 총 수송인원을 해당 차로 수송인원으로 나눈 것으로 경부고속도로의 1개 전용차로가 총 수송인원의 62%를 담당한 셈이다.

이 외에도 국토부는 버스전용차로제 시행 후 교통량 감소, 통행속도 증가 등의 효과로 연간 총 590억원의 편익이 발생했으며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217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