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이 4월 30일 새벽 2시 최종 결렬되었으나, 노조 측이 파업 대신 준법투쟁 방식의 쟁의행위를 진행하기로 결정해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 협상이 어젯밤(29일)부터 이어진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에도 불구하고 오늘(30일) 새벽 2시 최종 결렬됐다. 하지만 노조 측이 파업 대신 준법투쟁을 결정하면서, 당장 시내버스 운행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게 됐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중재로 4월 29일 오후부터 시작된 노사 조정 회의가 최종 결렬되면서 노사 간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다행히 노조 측이 파업이 아닌 준법투쟁을 통한 쟁의행위를 결정함에 따라 버스 운행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
그러나 준법투쟁으로 인한 운행 속도 저하와 배차 간격 증가 등 시민들의 버스 이용에 불편이 예상된다.
서울시는 시민들에게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으며, 평소보다 여유 있게 출근길에 나설 것을 권고했다.
준법투쟁으로 인한 버스 이용 불편사항은 120 다산콜센터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으나 여전히 노사 간 갈등이 진행 중"이라며, "향후 파업으로 쟁의행위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조속한 시일 내에 원만한 노사 합의가 도출되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준법투쟁 기간 동안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중교통 운행 정상화에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민들은 출퇴근 시간대에 평소보다 여유 있게 이동 계획을 세우고, 필요시 지하철이나 대체 교통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