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교통연, "육·해·공 통합물류체계 전환 시급"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8-12-14 13:20:25

기사수정
  • 녹색성장과 물류 세미나 개최
글로벌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국내·외 화물 물동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현행 도로 중심의 국내 물류체계를 육·해·공 통합물류 체계로 개편, 대량 수송체제를 갖추는 게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국내 수송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화물운송이 차지하는 비율이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아 향후 기후변화협약 실행이 구체화될 경우 우리나라 화물운송 시장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어 국가 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교통연구원은 지난 9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녹색성장과 물류'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교통연구원의 예충열 물류기술개발지원센터장은 '육·해·공 통합물류체계 구축방안'이라는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예 센터장은 "20∼30년 뒤 우리나라의 국내외 물동량이 지금보다 2∼3배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현재의 도로 중심 국내 물류체계로는 감당할 수 없다"며 "육·해·공 물류체계를 통합해 새로운 복합수송 형태의 대량수송체로 전환하는 게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류수송 분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내물류와 국제물류의 통합, 도로·철도·해운·항공 등 수단 간 통합, 그리고 운송·주선·보관·정보·통관과 같은 물류 기능 간 통합을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 센터장은 구체적인 물류체계 통합방안으로 △철도운송서비스의 증편 △문전 철도수송서비스상품 개발 △항만에서의 철도 직송체계 구축 △기업의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원 △공공물류거점과 기업물류거점의 연계 및 공동화 추진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육성 △공항과 항만의 통합관리체계 구축 △개성공단 연계체계 구축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설립 등을 제안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또 교통연구원의 서상범 종합물류기업인증센터장은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투자전문기업을 설립하고 대기업의 글로벌 인수 및 합병(M&A) 직접참여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류산업과 같은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산업 육성을 통해 균형적 경제구조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교통연구원의 민연주 책임연구원은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녹색물류 추진체계'라는 보고서에서 "국내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중 화물운송이 차지하는 비율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6.5%씩 증가해 선진국(0.6∼2.0%)에 비해 월등히 높아 향후 기후변화협약 실행이 구체화될 경우 우리나라 화물운송시장은 커다란 도전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가 차원의 대응을 촉구했다.

교통연구원의 노홍승 책임연구원은 획기적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녹색성장을 위한 새로운 첨단물류 기술의 개발과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노 책임연구원은 이를 위해 관련 보고서에서 첨단 물류기술 개발과제로 도심형 친환경 화물자동차, 웹기반 물류주 제도와 화물차 네비게이션시스템 등의 과제를 제시했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