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9월 차판매, 내수 위축, 수출 활기
  • 박순영 기자
  • 등록 2008-10-05 10:18:24

기사수정
  • 내수 7만7635대 판매..전년동기 대비 14.6% 감소
지난 9월 국내 완성차 5사가 국내외에 판매한 자동차는 모두 38만2천577대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7% 줄었다. 그러나 8월에 비해선 4.9% 증가했다. 전반적으로 내수는 위축, 수출은 활기를 보였다.

완성차 5사의 내수 판매대수는 7만7천635대로 전년동기 대비 14.6% 감소했다. 8월에 비해서도 3.1% 뒷걸음쳤다. 업계는 완성차회사 노조의 부분파업과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위축의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현대차는 3만1천449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동기 35.3%, 8월에 비해 17.3% 하락했다. 승용 인기 3총사인 아반떼(4천268대), 쏘나타(6천715대), 그랜저(3천467대)가 급감했다. 반면 SUV인 싼타페(3천346대)는 전월보다 20.6% 증가했다. 9월까지의 누적판매는 44만763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기아차는 2만4천322대를 팔았다. 전월에 비해 4.4%, 지난해 동기 대비 19.5%가 증가했다. 로체 이노베이션과 포르테, 쏘울 등 잇딴 신차 출시가 판매실적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차종별로는 모닝(4천300대)이 인기를 이어갔고, 포르테(4천36대)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반면 스포티지(1천736대)와 모하비(477대) 등은 관심 밖으로 밀렸다. 9월까지의 누적판매도 22만9천171대로 전년 대비 16.3% 신장했다. 기아는 10월부터 본격 출고되는 쏘울과 포르테의 신차효과로 10월 판매실적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GM대우는 1만58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에 비해 60%, 지난해 동기 대비 23.3% 늘어난 것이다. 차종별로는 마티즈(5천318대)와 경상용차(1천971대)가 고유가시대의 대안으로 인기를 끌었다. 반면 윈스톰(618대)과 11월중 후속모델 출시를 앞둔 라세티(526대)는 부진했다. 9월까지의 누적판매는 9만7천889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0.3% 늘었다.

르노삼성은 7천777대의 내수실적을 올렸다. 전월에 비해 17%, 지난해 동기 대비 13.6%가 하락했다. 차종별로는 SM5(4천452대)와 SM3(1천209대)가 부진한 반면 QM5(1천186대)는 전월 대비 1.6% 증가했다. 회사측은 최근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내수공급이 상대적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9월까지의 누적판매도 7만9천348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10.1% 하락했다.

쌍용차는 3천501대를 내수시장에서 팔았다. 전월 대비로는 24.8% 신장했으나 지난해와 비교하면 20.6% 주저앉았다. 차종별로는 체어맨W와 체어맨H 등 체어맨 시리즈(1천96대)가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 액티언 스포츠(999대)도 경제적인 SUT로 주목받으며 선전했다. 그러나 상반기 경유가격 급등의 여파로 9월까지의 누적판매가 3만1천762대를 기록하며 지난해에 비해 31.9% 감소했다.

올 9월까지의 완성차 5사의 내수판매는 87만8천93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8% 감소했다. 업계는 상반기 고유가 여파, 하반기는 금융시장 불안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점이 내수시장 불황을 부추긴 것으로 보고 있다. 누적판매 시장점유율은 현대가 50.1%로 50% 이상을 유지했고, 기아가 26.1%를 기록했다. 이어 GM대우가 11.1%, 르노삼성이 9%, 쌍용이 3.6%를 각각 차지했다.

완성차 5사의 9월 수출실적은 30만4천942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2.3% 늘었다. 올 9월까지 완성차 5사의 누적수출은 310만6천370대로, 지난해보다 7.4% 증가했다.

수출실적에선 쌍용을 제외한 모든 회사가 증가세를 보였다. 현대는 지난해 대비 누적수출이 12.3% 늘어 내수부진을 수출로 만회했다. 르노삼성도 올해부터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지난해보다 누적수출이 98% 신장했다. 업체별 수출비중은 현대가 52.1%로 가장 많았고, 기아가 24.9%로 뒤를 이었다. GM대우가 19.5%, 르노삼성이 2.4%, 쌍용이 1.1%를 각각 점유했다.

업계는 최근 완성차회사의 임금협상이 모두 타결된 데 따라 10월엔 판매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내수의 경우 국제금융 불안에 따라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는 점, 여기에다 연말이라는 특수성이 겹쳐 큰 폭의 판매신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업체마다 수출에 주력, 활로를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프로필이미지

박순영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