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고유가대책 미흡"…교통·물류대란 우려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8-06-10 23:07:35

기사수정
  • 화물차·건설기계 파업 확실시, 버스 감축운행 초읽기
정부가 지난 8일 '고유가 대책' 을 통해 다음 달부터 버스, 화물차 등 경유차 사용 사업자에게 유가 인상분의 50%를 환급해 주겠다고 밝혔지만 관련업계의 반발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와 건설노조의 총파업 및 버스운송조합의 감축 운행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 교통·물류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지난 9일 1만3천여명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 오는 13일부터 전면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하지만 부산과 평택, 군산항 등 상당수 지역에서 10일부터 운송거부에 들어가면서 사실상 파업이 시작된 상태다.

화물연대는 “현재 전국 사업장은 경유가 기준을 ℓ당 1천400∼1천500원으로 정하고 투쟁 중인데 정부는 1천800원으로 기준을 정했다”며 “정부대책에서는 표준요율제, 화물운송 구조개편 등은 언급조차 안 됐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중간 알선업체들의 이익을 없애고 운임만 통제하면 되는데도 이번 대책에서 이런 부분은 빠졌다”며 “국민의 세금을 갖고 고유가 대책이라고 내놓는 게 말이 되느냐”고 덧붙였다.

오는 16일부터 적자 노선을 중심으로 30% 감축 운행에 돌입할 계획인 버스업계도 정부 대책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반응이다.

전국버스연합회는 “경유 가격이 ℓ당 평균 1천33원일 때 요금을 올린 뒤 단 한 차례도 요금 인상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번 정부 대책은 그간 손실을 결국 버스업계가 고스란히 떠안으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버스연합회 관계자는 “16일 이후에도 요금인상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다음 달부터는 전체 노선의 50% 감축할 계획”이라고 밝혀 교통대란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택시업계도 집단행동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시택시운송사업조합과 서울시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은 서울시에 택시운임 최소 35% 인상, 유류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상승분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운행중단 등 집단행동도 불사할 뜻을 보이고 있다.

덤프트럭과 레미콘차량, 타워크레인 운전자 등으로 구성된 건설노조는 건설기계에 대한 대책이 빠졌다면서 더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건설노조는 “정부대책 준비과정에서 건설기계에 대한 대책이 없는 것을 보고 강력히 경고했는데 결국 빠졌다”면서 “이제 파업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경고했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화물차나 건설기계나 똑같이 경유를 사용해 움직이는데 정부가 차별을 한다”면서 “오는 16일로 예고된 총파업계획을 예정대로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