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움직이면 손해"…화물차 파업 예고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8-05-24 17:36:15

기사수정
  • 운송료 현실화·면세유 공급 등 요구
화물연대가 경유가 상승에 따른 운송료 인상을 문제로 내달 초 총파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물류 대란이 우려된다.

화물연대는 23일 성명을 통해 고유가 대책과 운송료 현실화에 대해 정부와 화주, 대형 물류회사가 대책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총파업을 포함한 총력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앞서 화물연대는 지난 10일 부산역에서 총력결의대회를 갖고 경유 값 상승에 따른 운송료 현실화에 대해 정부가 한 달 내에 대책을 내놓지 않으면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화물연대는 "경유 값이 오른 만큼 운임을 올려 받아야 하지만 화주의 우월적 지위와 불공정거래 관행으로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운송료 현실화에 정부가 나서줄 것을 촉구했다.

현재 시중의 경유 값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 이상 올랐다. 전국의 경유 ℓ당 평균가격은 휘발유의 95∼98%에 해당하는 1천800원을 돌파했다. 일부 정유사들은 지난 20일부터 경유를 휘발유보다 비싸게 공급하고 있어 조만간 경유가가 휘발유가를 추월하는 사상 초유의 현상도 나타날 전망이어서 화물차주들을 더욱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

사업용화물차들은 정부의 유가보조금을 받고 있지만 이미 경유 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별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그나나 정부는 유류세를 인하했다는 이유로 지난 3월 유류보조금을 342.2원에서 287.7원으로 인하했으며, 유가보조금도 내달까지만 지급될 예정이다.

화물연대 등 운송업자들은 "서울~부산 왕복운임이 대략 80만 원 선인데 60만원이나 되는 기름 값과 도로비(7만6천원), 식대·알선료·보험료·지입료 등 비용을 제하면 움직이는 만큼 적자"라며 "현재 화물 운송노동자들은 벼랑 끝에 내몰려있는 상황"이라고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대책으로 △유가보조금 지급기한 연장 및 증액 △사업용 화물차 면세유 공급 △정부의 정유사 유류가격 결정 규제 △운송료 현실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6월 말로 끝나는 유가보조금 지급기한을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대책마련에 들어갔으나 화물연대의 요구에 대해 직접적으로 들어줄 수 있는 내용이 별로 없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면세유를 공급해달라는 주장은 다른 업계와 형평성 차원에서 맞지 않고 유가책정은 자율화된 지 오래됐으며 운송료는 전적으로 화주-운송업체-화물연대 등 당사자들이 협의할 문제"라며 어려움을 나타냈다.

운송업체들 역시 "지입차주 등 화물연대의 요구가 어느 정도 타당성은 있지만 화주들이 움직이지 않는 한 대책이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화물연대의 주장에 심정적으로 동조하는 분위기로 지난 2004년 물류대란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어 화물연대의 실력행사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은 약 1만2천명 수준이나 총파업에 들어가면 비조합원들도 상당수 동참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보고 있다.

한편 화물연대 창원동부 하이로지스틱스 분회 소속 화물차 운전자 180여명은 지난 23일 오전부터 운송료 23.4% 인상과 단체교섭권 인정 등을 요구하며 하이로지스틱스 물류센터 입구에서 무기한 파업에 들어갔다.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파일을 운송하는 충남 동양파일 소속 화물차 운전자들도 지난 22일부터 운송을 거부하고 있으며 대산석유화학단지, 여수산업단지, 광주 삼성전자 등 전국 30여 곳의 사업장에서 운송거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