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정부, 교통사고다발 어린이보호구역 위험요인 제거 추진
  • 김남주 기자
  • 등록 2022-10-28 14:26:50

기사수정
  • 도로환경, 운전자, 안전시설 등 세가지 측면에서 위험요인 정비

어린이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40곳에서 총 85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피해 어린이 사고 유형은 횡단 중 사고가 41.2%(35건)로 가장 많았고, 자전거 탑승 중 사고가 34.1%(29건)로 뒤를 이었다.


행정안전부와 도로교통공단은 지난해 어린이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어린이 보호구역 40곳을 대상으로 8월 8일부터 19일까지 관계기관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이런 내용의 분석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이번 점검 결과, 가해 운전자 위반유형으로는 안전운전 불이행 37.6%(32건),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이 32.9%(28건) 순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인은 도로환경, 운전자, 안전시설 등 세가지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총 333건의 위험요인이 도출됐다. 이 가운데 교통안전 정보 제공 미흡과 같은 안전시설 요인이 172건으로 가장 많았고, 도로 환경 요인이 112건, 운전자 요인이 49건 순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40곳에서 총 85건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피해 어린이 사고 유형은 횡단 중 사고가 41.2%(35건)로 가장 많았고, 자전거 탑승 중 사고가 34.1%(29건)로 뒤를 이었다.(사진=교통일보 자료실)행안부는 안전시설 위험요인 해소를 위해 우회전 신호등, 일시정지 표지판 등 시설물을 추가로 설치하여 교통 정보가 정확히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시인성이 미흡한 곳은 바닥 신호등 설치를 통해 개선할 예정이다.


도로환경 위험요인은 어린이 보행공간 확보, 보호구역 확대 지정 등을 통해 해소하는 한편, 차량과 보행자 상충이 우려되는 곳은 횡단보도 대기 공간 확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운전자 위험요인은 과속단속장비와 같은 속도저감시설 설치로 과속을 예방하고, 불법 주정차 단속 장비 설치 등의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행안부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신호기가 없는 횡단보도 앞에서 차량 운전자의 일시 정지 의무 부여에 따라 일시정지 표지판 설치를 병행하는 등 교통안전 정보 제공 강화에 노력할 예정이다.


 

 

프로필이미지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