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카카오모빌리티, 타다와 카카오T 앱 서비스 제휴
  • 김남주 기자
  • 등록 2021-11-30 11:31:37

기사수정
  • '우티'만이 주요 가맹택시 업체 중 미제휴인 곳으로 남아

업계 3위의 가맹택시 타다가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 호출 서비스 제휴를 맺었다. 이로써 주요 가맹택시 사업자 중 우티(UT) 만이 카카오T 애플리케이션(앱) 호출을 쓰지 않고 독자 호출 앱을 쓰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최근 타다와 카카오T 택시 호출 서비스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것으로 30일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타다 측은 상세 제휴 조건은 논의 중이라면서 제휴 사실을 인전했다. 이에 따라 지난 11일부터 타다 가맹택시 기사들도 카카오T 앱 일반호출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업계 3위의 가맹택시 타다가 카카오모빌리티와 택시 호출 서비스 제휴를 맺었다.(사진=타다)카카오모빌리티는 올해 초부터 타사 가맹택시들에게 카카오T 택시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정식 제휴를 맺자고 요구해 왔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여러 호출 플랫폼을 함께 사용하면 이미 배차 완료된 카카오T 호출을 취소하는 경우가 생긴다"며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끼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마카롱택시, 반반택시, 고요한M은 지난 7월 카카오와 제휴를 맺었다. 


다만 2·3위 사업자인 우티와 타다는 카카오와 거리를 뒀다. 하지만 이번에 타다가 결국 제휴를 맺으며 카카오 가맹택시 연합군에 들어가게 됐다.


타다의 합류는 이미 예견됐었다. 카카오 측이 지난 7월 일부 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한 직후부터 미제휴 가맹택시 기사들에 대한 카카오T 앱 서비스를 차단했기 때문이다. 카카오T는 택시 호출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이에 택시 기사 입장에서는 카카오T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호출을 수행하는 것조차 어렵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출시 이후 카카오T 택시 누적 호출 수는 22억 건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올 상반기 단거리 호출수는 지난 2019년 상반기에 비해 45%나 증가했다.  


이제 타다가 카카오 연합군에 가세한 이상 주요 가맹택시 업체 중 유일하게 미제휴인 곳은 우티다. 사업 확대에 차질이 생길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우티는 카카오 가맹택시(카카오 T 블루)보다 낮은 수수료율을 내세워 올해 말까지 가맹택시 수를 1만 대까지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하지만 여전히 카카오T에 비해서는 이용자 수가 미미해 앱 자체에서 생성되는 콜이 적다. 이런 상황에서 카카오T 앱마저 쓰지 못할 경우 택시 기사들이 우티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나온다.  


 

관련기사

프로필이미지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