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4년부터 운행 예정인 ‘교외선’ 놓고 ‘설왕설래’
  • 김남주 기자
  • 등록 2021-11-18 14:20:54

기사수정
  • 고양시 능곡서 의정부시까지 32.1㎞ 구간 운행... 2004년 운행 중단 뒤 20년만에 부활
  • 교외선 운행의 재개와 관련해 일각에선 비판 목소리
  • 디젤열차로 정밀안전진단에만 100억원 넘게 들어가는 데다 배기가스 다량 배출

경기도 고양시 능곡에서 양주시 장흥을 거쳐 의정부시까지 32.1㎞ 구간을 동서로 연결하는 교외선의 운행이 재개될 전망인 가운데 이를 놓고 디젤열차로 정밀안전진단에만 100억원 넘게 들어가는 데다 배기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등 문제를 놓고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활을 앞둔 교외선 철도에 폐차 대상인 디젤동차가 투입될 계획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철도박물관)

18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이 교외선 운행의 재개를 위한 시설개량공사의 실시설계가 이미 개시됐다.


시설개량공사는 국비 497억원이 투입돼 노반과 궤도, 신호, 통신 등 공사로 이뤄져 있다. 이는 2023년 말 완공 목표다 이 공사가 끝나면 교외선 열차는 2024년부터 운행되게 된다. 


교외선 정차역은 의정부·송추·장흥·일영·원릉·대곡 등 6곳이다. 대곡역에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노선, 의정부역에서는 C노선과 만난다.


거의 60년 전인 지난 1963년에 처음 개통한 교외선은 서울에서 일영·장흥·송추 지역으로 통하는 교통수단이기도 했다. 그러나 승객이 점차 줄면서 2004년 4월 운행이 중단됐다.  


그런데 부활을 앞둔 교외선 철도에 폐차 대상인 디젤동차가 투입될 계획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디젤열차 운행을 위한 정밀안전진단에만 100억원 넘게 들어가는 데다 배기가스를 다량 배출하는 디젤열차 운용 자체가 탄소중립시대에 역행한다는 비판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동차는 힘은 좋지만, 배기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탓에 코레일에서도 대폭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교외선의 디젤동차 운영을 둘러싼 논란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낡은 디젤동차를 다시 운영하기 위해서는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한데 여기에 책정된 예산만 103억원에 달한다.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면 5년간 수명이 연장되며 이후 계속 사용하려면 또다시 정밀안전진단을 받아야 해 100억원 넘는 돈을 더 투입해야 한다.


또 하나의 문제는 배기가스 배출이다. 국가적으로 탄소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배기가스를 뿜어내는 디젤열차를 운행하는 게 부적절하다는 비판이다.


이에 전문가와 철도업계에서는 디젤열차 운행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운행 주체인 경기도는 교외선은 언덕 구간도 있고 해서 배터리동차나 수소동차로는 용량과 추진력이 부족해 운행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비용면에서도 디젤열차에 대한 정밀안전진단비용이면 친환경 차량 구입이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서울시가 추진 중인 위례선트램의 경우 차량 구매 예정단가가 5량 1편성에 43억원가량이다.


일부에서는 국비 지원 규모가 500억원 이상일 경우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신차 구입 대신 디젤열차 재활용을 택한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현재 예상 수요와 사업비 등을 고려했을 때 예타를 통과하기 어렵다는 전망이기 때문이다.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와중에 경기도와 기초지자체 입장에선 어떻게든 교외선 재개통을 해야 하는 입장이어서 디젤열차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프로필이미지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