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도로교통공단 “10~12월 보행 사망사고 많아···보호구역 내 서행 준수”
  • 박래호 기자
  • 등록 2020-11-27 09:49:58

기사수정

도로교통공단이 노인보호구역에서 서행을 강조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도로교통공단)

도로교통공단은 26일 서울시 관악노인종합복지관 인근 도로에서 ‘노인보호구역 내 서행운전’ 을 당부하는 어르신 교통안전 행사를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운전자에게 안전운전 습관을 강조하는 한편 어린이보호구역에 비해 낮은 노인보호구역에 대한 인식과 주의를 높이고자 마련됐다.

   

공단이 최근 5년간 보행 중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10월~12월에 보행 사망사고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매년 감소 추세이나 노인 보행 사망자의 점유율은 증가 추세에 있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인보호구역은 노인복지시설 등의 주변 도로를 중심으로 교통안전시설물 및 도로부속물을 설치해 교통약자에 대한 보행안전을 확보하고자 지난 2007년부터 도입됐다. 

   

시속 30km 미만 주행, 주ㆍ정차 금지가 요구되며 위반 시 범칙금과 과태료를 일반 도로의 2배를 부과하고 있다. 

   

운전자는 노인보호구역에서 규정 속도를 준수하며 서행하고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 앞에선 반드시 일시 정지해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앞서 공단은 행정안전부와 함께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을 실시하며 2019년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공개했다.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는 반경 200m 내 65세 이상 노인 보행사고가 3건 이상 발생한 곳이다. 

   

2019년 기준 전국 561개소가 선정됐으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주요 사고 다발지는 병원과 시장, 대중교통시설 주변 등으로 나타났다.

   

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노인보호구역은 교통약자인 노인 보행자를 위해 지정된 특별한 구간인 만큼 운전자는 보행자를 먼저 배려하며 안전하게 통행하시길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우리나라는 2025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노인 보행자의 교통사고 위험도 늘어나고 있다. 노인 보행자는 노화로 인한 위기대처능력의 저하로 교통사고에 쉽게 노출될 위험이 있다.

 

2018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사망자수는 OECD 회원국 중 가장 많은 11.4명을 기록했다. 이는 회원국 평균인 2.9명에 비해 약 4배 높은 수준이다.


프로필이미지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장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서울지하철, 3개 노조와 개별교섭…올해 임단협도 '가시밭길' 서울지하철, 3개 노조와 개별교섭…올해 임단협도 '가시밭길'개별교섭권 획득한 3노조 주목…파업시 실질적 영향력은 1노조 커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임금·단체협약 본교섭에 돌입했다.잇단 안전사고 이슈와 노조 간부 대규모 중징계로 노사 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이번 임단협도 가시밭...
  2. 스쿨존 어린이 부상 작년에만 523명…음주운전 사고 늘어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내 사고로 차량 통행속도를 제한하는 등 대책이 강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교통사고가 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음주 운전 교통사고는 최근 2년 동안 증가하고 있어 더욱 엄정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1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자료를 받아 분석한 결.
  3. 캠퍼스 도로는 도로 아니다?…사고 나도 벌점은 못주는 이유는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미술관 앞 편도 1차선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났다.사고는 뒤따라오던 차량 운전자가 앞에서 주차하기 위해 후진하던 차량을 보지 못하고 들이받으면서 발생했다. 이 사고로 들이받힌 차량 운전자 박모(40)씨와 함께 차에 탔던 생후 20개월 아들이 골반과 목 등에 경상을 입었다.박씨는 가해자가 '다른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