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5개년 계획 수립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6-11-25 20:22:41

기사수정
장애인 등 교통 약자의 이동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5개년 계획이 수립된다.

건설교통부 주최로 한국교통연구원이 주관하는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5개년 계획(안)'에 대한 공청회가 24일 오후 3시 경기도 일산 킨텍스(KINTEX)에서 열렸다

이번에 수립되는 계획안은 금년 1월 시행된 '교통약자의이동편의증진법'에 의거 수립되는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마스터플랜으로, 고령자ㆍ장애인ㆍ임산부ㆍ어린이 등 전체국민의 약 25%를 차지하는 교통약자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각종 교통수단, 여객시설, 보행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의 신연식ㆍ모창환 박사는 주제발표를 통해 교통약자 및 일반 시민이 느끼는 이동편의시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교통수단에서는 버스가, 여객시설에서는 버스정류장이 가장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11년까지 수평 승하차가 가능한 저상버스를 전국 시내버스의 30%까지 보급하고, 2008년까지는 한국형 저상버스 표준 모델을 개발해 2009년 이후 대량생산 체제를 갖춰 보급을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상버스 확대를 위한 기반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정류장 표준모델 개발, 정류장 높이조정, 보도폭 확대, 점자블록 설치, 정보안내판 설치 등을 통해 버스정류장을 개선하는 사업도 병행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휠체어 승강장비를 장착한 장애인셔틀버스, 장애인콜택시 등을 1천72대 새로 공급해 일반 대중교통 이용의 사각지대에 있는 중증장애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이동편의를 도모하고, 국도 및 지방도에 보도설치를 지속해 나가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신호기 3천20대를 추가 설치해 지속적인 유지관리 및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밖에 보행우선구역 시범사업을 통해 각종 속도저감시설 설치, 도로점용물 이설 등으로 보행 불편을 해소해 일반 국민들이 실제 보행환경의 개선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보행우선구역 대상지역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건교부는 계획안에 대한 장애인ㆍ시민단체, 관계 전문가, 지자체 공무원 등으로부터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고 미비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5개년 계획이 완료되면 교통수단, 여객시설, 보행환경이 개선되는 등 장애인ㆍ고령자ㆍ임산부ㆍ어린이와 같은 교통약자의 이동이 보다 자유로워지고, 기존의 차량소통 위주의 교통정책에서 인간중심의 교통정책으로 전환해 선진교통시스템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