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동차도 원가 공개하라"
  • 신제현 기자
  • 등록 2006-07-23 23:03:24

기사수정
  • 소비자들 '신차 개발비 거품' 제기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가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새 모델을 낼 때마다 차값이 비싸지고 있는 자동차도 원가 공개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새 모델 출고시 200만~500만원까지 올려받고, 내수용을 수출차에 비해 2배 가까운 차값을 받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그 내역을 제대로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완성차 업체들은 "항목을 공개할 경우 업체의 제작기밀이 알려진다"며 반발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자동차 업체들의 파업과 정부의 배출가스 규제가 있으면 곧바로 차값 상승으로 이어져 애꿎은 소비자만 부담이 커졌다"며 "툭하면 차값을 올리는 자동차 업체들이 적지않은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자동차도 원가공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체 관계자들은 보통 신차의 경우 중소형차는 2천억~3천억원, 에쿠스 체어맨 같은 고급차량은 4천억~5천억원의 개발비가 든다고 말한다. 자동차 개발비에 대한 세부 항목들은 철저히 대외비로 부쳐지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액면대로 믿을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차량 기술의 발달로 인한 집적화와 대량 생산으로 인한 규모의 경제는 오간데 없이 매번 수천억원의 개발비가 들어 차값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업체들의 얘기에 소비자들사이에선 '차 값에도 아파트처럼 업체의 폭리로 돌아가는 거품이 들어있을 것'이라는 의구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개발비 자체에 대한 공개여부는 현대·기아차와 쌍용차같은 상장사의 경우는 금융감독원을 통해 공시하도록 돼있지만 비상장사인 르노삼성 GM대우는 이를 공개조차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자동차업계 한 관계자는 "업체들이 신차 개발비를 발표하면서 기존 모델의 플랫폼(자동차의 기본이 되는 골격)을 공유한 경우에도 플랫폼 설치비, 납품업체 시설비까지 포함해 계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스포티지는 투싼과 플랫폼을 공유했고,심지어 오피러스는 그랜저TG와 자동차 하부를 제작하는 플랫폼 공유에 이어 엔진도 똑같은 것을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상적으로 플랫폼 공유의 경우 부품들도 상당부분 똑같이 쓰는 예가 많다.

이같은 '차값 거품 의혹' 제기에 대해 자동차업체들은 "항목을 공개할 경우 회사기밀이 노출될 우려가 있어 대외비"라며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자동차의 대체적인 개발비 항목은 크게 7가지 정도다. △내부 인건비 △외부 인건비 △기술개발 준비금 △연구수행지원경비 △직접경비 △연구관리비 △위탁연구개발비 등이다. 이 가운데 시작품 제작 경비가 포함된 직접 경비 항목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 알려져있다.

완성차 업체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신차개발의 경우 프로토(테스트용) 금형을 만들고 양산용 금형도 따로 만드는데 이 부품이 2만개가 넘어 금형 제작비용이 1천억원 안팎이 들어가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자동차의 원가공개와 관련, 3~4년전 무상 보증수리 비용을 차값에 7~8% 포함시켰다는 시민단체의 폭로를 계기로 국회 상임위원회에서 공개여부가 논란이 되기도 했지만 결국 업체들이 "국가 기간산업의 정보가 새면 결국 경쟁력이 약화된다"는 논리를 펴 무산된 바 있다.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당장 전 항목의 공개가 힘들다면 아파트 분양가의 일부 항목 공개처럼 자동차도 무상보증수리 등 애프터서비스 비용과 배출가스 규제 강화 등 환경규제 비용같은 추가되는 부분에 대해선 공개가 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프로필이미지

신제현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