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역사·학술가치·희소성 인정된 ‘최광지 홍패’등 보물 지정
  • 강석우 기자
  • 등록 2020-04-24 10:24:29

기사수정
  • 고려 후기 선종 경전인 ‘육조대사법단경’ 등 전적·도자기 총 3점 문화재 지정

문화재청은 630년 전에 발급된 과거합격증인 ‘최광지 홍패’와 고려 후기 선종 경전인 ‘육조대사법보단경’ 1책 등 전적과 도자기 등 총 3점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보물 제2062호 최광지 홍패’는 고려 말~조선 초에 활동한 문신 최광지가 1389년 문과 ‘병과 제3인’으로 급제해 받은 문서로서 약 630년 전 고려 말에 제작된 매우 희귀한 사료다.

홍패에는 '성균생원 최광지 병과 제삼인 급제자'와 '홍무 이십이년 구월 일'이라는 문장이 두 줄로 적혀 있으며 발급연월일 위에 '고려국왕지인'이라는 국새가 찍혀 있다.

고려 시대 공문서에 이 직인이 찍힌 사례는 ‘최광지 홍패’가 지금까지 유일하게 알려져 있고 조선 개국 직후인 1392년 10월에 태조 이성계가 개국공신 이제에게 내린 ‘이제 개국공신교서’에 ‘고려국왕지인’이 사용된 사실이 있다.


조선 시대 문서제도와 관련성이 밀접하다는 점에서 역사·학술 가치와 희소성이 인정되어 보물 지정 가치가 충분하다.

현재 경상남도 사천시 백천사에 소장되어 있는 ‘보물 제2063호 육조대사법보단경’은 1책으로 1290년 원나라 선종의 고승 몽산덕이가 편찬한 책을 고려 수선사에서 당시 제10대 조사인 혜감국사 만항이 받아들여, 1300년 강화 선원사에서 간행한 판본이다.

‘육조대사법보단경’은 혜능의 선사상을 이해하거나 선종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경전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간행됐으며 백천사 소장본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관련 경전 가운데 시기적으로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조선 시대에 보이는 ‘덕이본’ 계열의 책들과도 판식의 차이점이 보여 고려 시대의 특징을 보여준다.

‘육조대사법보단경’은 선종의 핵심사상을 파악할 수 있는 지침서이자 한국 선종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불경으로 불교사에서도 중요하며 이 중 백천사 소장본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같은 종류의 경전 중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가치가 높다.

따라서 불교학 연구는 물론, 고려 시대 말기 목판인쇄문화를 규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학술면에서나 서지학적으로 모두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므로 보물로 지정해 관리할 필요가 있다.

문화재청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들이 체계적으로 보존·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말했다.


프로필이미지

강석우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