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손보업계, 외제차 차보험료 인상 추진
  • 강석우
  • 등록 2013-09-22 20:44:12

기사수정
  • 손해율 상승 여파…외제차 수리비, 국산차보다 4배 높아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여파로 조만간 외제차 보험료가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22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보다 자동차 보험 손해율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 수리비 부담이 큰 외제차의 보험료를 상향 조정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올해는 태풍 등 큰 자연 재해가 없었는데도 자동차 보험 손해율이 지난해보다 적게는 2.0%포인트, 많게는 7%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지난 8월말 현재 삼성화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6.8%(가마감 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 포인트나 뛰어올랐다.

현대해상과 동부화재도 각각 6.7%포인트, 2.0%포인트 증가한 88.8%와 84.5%를 기록했다.

메리츠화재(89.7%, 4.7%p↑)·한화손보(93.5%, 2.8%p↑)·롯데손보(88.7%, 4.0%p↑) 등 다른 보험사의 경우에도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상승했다.

손해율이란 고객으로부터 받은 보험료에 대한 보험금 지급규모의 비율을 가리킨다. 사업비 등을 고려할 때 자동차보험의 적정 손해율은 77% 내외 수준이다. 이를 넘어서면 보험사들이 손해를 보게 된다.

올해의 경우 태풍도 우리나라를 비켜 갔고, 뚜렷한 집중호우 피해도 없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평가된다.

손보업계는 현행 자동차보험 제도 자체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제도는 계속 출현하지만 보험료 인상요인이 생겨도 이를 반영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손보업계의 한 관계자는 "인건비 상승이나 의료·정비수가 인상 등 보험원가 상승요인은 계속 발생하지만 보험료 할인이나 마일리지보험 등의 도입으로 보험료 수입은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손해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금융 당국도 "외제차 보험료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적극 수용하려는 분위기다. 금융위 관계자는 "외제차의 높은 손해율이 보험료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외제차 차종별 손해율을 조사, 이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험개발원이 올해 초 판매량이 많은 외제차의 수리비를 분석한 결과 벤츠 C200모델의 신차가격(4620만원)대비 수리비(1677만원)가 36.3%로 가장 높았고, 혼다 어코드(33.8%)·폭스바겐 골프(25%) 등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국산차의 평균비율이 8.7%인 것을 감안하면 외제차의 수리비는 평균 4배 가량 높은 셈이다. 특히 국내 차량 중 가장 낮은 기아의 K9모델(7.4%)과 벤츠 C200은 5배의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외제차 자동차보험료는 국내차에 비해 보험료가 평균 1.5배 많은 것에 불과해 불합리하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산차를 타는 사람들이 외제차를 타는 사람들의 보험금을 부담한다는 이유에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