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내년부터 공공기관 승용차요일제 의무화
  • 이병문 기자
  • 등록 2005-11-01 21:13:23

기사수정
  • 유가 75달러 이상시 민간 확대...건교부, 에너지절감방안 마련
고유가 시대 에너지 절감을 위해 내년 1월부터 전국 공공기관에 승용차 요일제 운행이 강제 시행돼 스티커를 붙이지 않는 차량은 공공기관 출입이 통제된다.

원유수급 위기경보 단계가 현행 '경계'(Orange)에서 '심각'(Red) 단계로 강화되면 강제 요일제는 민간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건설교통부는 1일 세종로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고유가 시대 에너지절감을 위한 대중교통활성화 방안'을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마련,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책에 따르면 10부제(공공기관), 5부제(경찰청), 요일제(서울시) 등 다양하게 시행중인 승용차 부제운행을 요일제로 단일화하고 공공부문은 연내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지침'을 개정, 내년 1월부터 전국 공공기관에서 강제 시행한다.

이에 따라 이 곳에서 일하는 사람뿐 아니라 일반 민원인들도 요일제 스티커를 부착해야 차량출입이 가능해진다.

보다 강제적인 방법도 동원된다. 당장 내년부터 도심내 대대적인 불법 주차단속 및 주차장 설치 제한 강화를 통해 자가용 의 도심진입을 억제하고 석유경보가 '심각'(유가 배럴당 75달러 이상시) 단계에 돌입하면 요일제는 민간에까지 강제 적용된다.

또 자전거 이용활성화 방안 추진과 함께 경차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하철 환승주차장 이용시 주차료 면제,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율을 현행 50%에서 60%로 높이는 등 인센티브를 내년부터 확대하고 하이브리드카 사용시에도 경차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했다.

중장기적 차원에서는 2008년까지 환승주차장 13곳 건설, 2012년까지 수도권에 22개 간선급행버스(BRT) 노선 540.4㎞를 구축하고 부산~김해, 의정부, 용인시 등 7개 노선에 대해 민자사업으로 경량전철 건설을 추진키로 했다.

난곡 등 대중교통 취약 지역에 대해서는 '가이드형 급행전철'(GRT)을 도입하고 현재 수도권 급행열차 2개 노선을 2010년까지 7개로 늘릴 게획이다. 이밖에 버스전용차로 확대, 철도이용 단체승객 운임할인 10명에서 7명으로 하향조정, 수도권내 장거리 굴곡버스 노선 직선화, 버스 정보시스템 설치 확대 등도 시행된다.

이같은 사업의 추진을 위해 대중교통에 대한 국고지원이 선진국 수준으로 늘어 날 전망이며 장기적으로 '수도권 광역교통청'의 설립도 추진된다.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