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순정부품’-‘비순정부품’ 성능 차이 없는데 가격은?
  • 이호돌 기자
  • 등록 2013-01-25 08:32:20

기사수정
  • 녹색소비자연대, 3개 차종 비교분석…최고 80% 비싸
 
‘순정부품’'과 ‘비순정부품’ 간의 성능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가격은 ‘순정부품’이 2배 가까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는 현대자동차의 아반떼(소형), 쏘나타(중형), 그랜저(대형) 3개 차종의 순정부품과 비순정부품 가격 및 품질을 비교 분석한 결과, 현대모비스가 공급하는 순정부품 가격이 비순정부품 보다 8~80%가 비쌌다고 24일 밝혔다.

순정부품은 완성차 제조업체나 그 계열 부품 제조업체가 공급하는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부품이며, 비순정부품은 다른 부품 업체가 공급한다.

이번 조사는 브레이크패드, 에어클리너, 항균필터, 배터리, 전조등, 엔진오일 등에 대해 수리비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가격 차이가 가장 큰 제품은 아반떼용 에어클리너로, 현대모비스(1만9556원)가 비순정품(카포스 제품ㆍ1만667원)보다 83% 나 비쌌다. 쏘나타용 에어클리너는 현대모비스 제품이 보쉬의 1.44배, 그랜저용은 현대모비스가 보쉬의 1.52배에 달했다.

가격 차이에도 불구, 순정부품과 비순정부품의 성능에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레이크패드는 현대모비스, 상신, 은성 등 3개사의 쏘나타용 제품을 조사했는데 속도분포와 안정성, 페이드율, 회복률, 침수 회복률, 패드 두께 감소량 등 6개 항목에서 모두 평가기준을 충족했다.

에어클리너도 현대모비스, 보쉬, 카포스 등 3개사의 쏘나타용 제품을 조사한 결과, 카포스 제품이 통기저항(공기가 에어클리너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저항)에서 현대모비스 제품보다 약간 낮을 뿐이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품질 면에서 차이가 별로 없는데도, 가격 차이가 발생한 것은 완성차 계열사의 적극적인 광고ㆍ마케팅의 영향으로 ‘순정부품=고품질 부품’이라는 인식이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녹색소비자연대는 “소비자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으려면 순정부품 대신 ‘OEM부품’ 비순정부품 대신 ‘규격품’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며 "부품인증제도 도입, 정비센터의 수리내역서 발행, 부품가격ㆍ공임비 게시 등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프로필이미지

이호돌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