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테슬라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한신특장, 기흥모터스 등 43개 차종 6만296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가 내려졌다.
기아 카니발 등 43개 차종 6만296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가 내려졌다.(사진=기아)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에 리콜 대상이 된 차종은 우선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E 350 4매틱 등 7개 차종 3만1195대는 12V 배터리의 고정 불량으로 차량 충돌 시 전원 연결부가 분리되고, 이로 인해 비상 경고등, 차문 자동 잠금 해제 장치 등이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다.
다음으로 GLS 400d 4매틱 등 2개 차종 2474대는 3열 좌석 등받이 잠금장치의 일부 부품 누락으로 충돌 시 잠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나왔다.
이어 기아 카니발 2만4491대는 엔진제어장치 소프트웨어의 오류로 운전자가 관성을 이용하여 주행할 경우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다.
테슬라코리아의 모델S 등 2개 차종 1131대는 전자식 파워스티어링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저속 주행 시 핸들이 무거워져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 골프 8 2.0 TDI 272대는 앞 좌석안전띠의 프리텐셔너 내 부품 불량으로 차량 충돌 시 프리텐셔너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탑승자 상해 기준을 초과했다.
Q5 40 TDI qu. 프리미엄 등 13개 차종 86대는 후방카메라 제어장치 회로기판의 조립 불량으로 후진 시 후방카메라 영상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나타났다.
한신특장 울트라 고소작업차 83대는 전선릴 등 미인증 부착물 추가 설치로 인해 인증하중을 초과하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기흥모터스의 할리데이비슨 로드킹 등 15개 이륜 차종 3191대는 차체제어장치의 소프트웨어 오류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아도 제동등이 점등되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이어 할리데이비슨 나잇스터 44대는 핸들바의 용접 불량으로 주행 중 핸들바가 파손되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있다.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발견된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한신특장, 기흥모터스의 경우 추후 시정률을 감안해 과징금이 부과될 예정이다.
해당 차들은 각 제작사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받을 수 있다.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이나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려야 한다.
시정조치 전에 결함 사항을 자비로 수리한 소유자는 제작사에 수리비용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