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전국 물류 흐름이 큰 차질을 빚으면서 그 파장이 일파만파로 확대되고 있다. 경제의 근간인 물류 동맥이 경화 현상을 일으키자 여기저기서 파열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는 지난 7일 전국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화물노동자의 안전과 일상이 곧 시민의 안전과 일상"이라며 화물 기사들의 최저임금제에 해당하는 안전 운임제 일몰 조항 폐지와 확대 적용을 촉구했다.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 불과 나흘째인 10일 현재 전국 곳곳에서 물류 운송 차질과 함께 크고 작은 충돌이 이어졌다.
현장 상황을 보면 10일 시멘트 출하가 중단되면서 전국 레미콘공장의 60% 가량이 멈춰 섰고, 각종 원자재 공급 차질로 인해 완성차 업체의 생산 차질도 현실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집계해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화물연대 조합원 4200여명은 지난 9일부터 10일 새벽까지 곳곳에서 철야 대기하며 파업을 이어갔고, 이들을 포함해 화물연대 조합원(2만2000명)의 약 35% 수준인 7800여명이 이날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추산됐다.
항만별 컨테이너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70.8%로, 평시(65.8%)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부산항과 인천항 등 일부 항만의 반출입량은 감소했다.
수도권 주요 물류거점의 물동량은 바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9일 의왕 내륙컨테이너 기지(ICD)의 반출입량은 평시 목요일 반출입량의 8.3% 수준인 403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에 그쳤고, 인천항은 전날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지난달의 16.6% 수준에 불과했다.
부산항 역시 상황은 비슷했다. 10개 터미널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지난달의 29.3%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에 국토부는 경찰과의 협조 하에 긴급 화물은 반출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다. 9일 새벽 전남 목포항에서는 배를 타고 도착한 화물 차량의 통행을 가로막은 화물연대 조합원 2명이 경찰에 체포되는 등 충돌도 이어지고 있다.
울산에서는 조합원들에게 남구 석유화학단지 4문 앞 왕복 4차선 도로를 점거하고, 공단 안으로 진입하게 한 혐의로 화물연대 울산본부 간부 1명이 경찰에 구속됐다.
물류 차질로 인한 피해는 시멘트와 자동차, 주류업계 등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국토부는 자동차·철강·시멘트 등의 출하량이 감소하는 등 차질이 발생하고 있지만, 관용차를 포함해 대체수송수단을 투입하고 자가용의 유상 운송을 허가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통해 물류 피해 최소화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레미콘업계의 집계를 보면 시멘트 재고가 바닥나면서 현재 전국 레미콘 공장 1085곳 가운데 60% 가량이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수도권 최대 레미콘 공급사 중 하나인 삼표산업은 17개 공장의 가동을 멈췄고, 유진기업은 전국 24개 공장 중 16개를 셧다운했다.
국토부는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 등 화물연대의 요구사항에 대해 실무적인 논의를 지속하는 한편 정상 운행차량의 운송을 방해하는 등의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경찰과 협조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